가설
가설은 연구 결과에 의해 참인지 거짓인지 판명할 수있어야 함.
연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진실 여부가 규명되지 않은 사실이라고 할 수 있음.
(1) 가설의 특징
- 가설은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형태로 세워져야 함
- 가설은 변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형태로 이루어져야 함
- 가설은 검증이 가능해야 함
(2) 가설의 구조
1) 사회과학에서의 가설
표현 방식 및 가설에 포함되는 변수들 간의 관계에 따라 여러 형태를 가지게 됨
- 분석적인 문장 형태
예) 모든 사람은 죽는다. - 모순적인 문장 형태
예) 사람은 물을 마시지 않고 살 수 있다. - 종합적인 문장 형태
광고비의 지출이 많을수록 매출액이 증가한다.
2) 가설의 일반적 구조
일반적으로 선행조건이 사실이면 결과조건도 사실이라는 관계로 구성됨.
- 선행조건: 먼저 제시되는 조건
- 결과조건: 선행조건이 이루어질 때 결과로서 나타나는 조건
3) 가설의 분류
가설은 적용가능한 범위에 따라 일반 과설과 지엽적 가설로 분류 할 수 있음
- 일반가설
모든 장소 및 시간에 관계없이 가설에서 언급한 변수들 간의 관계가 적용되는 경우
- 지엽적 가설
특수한 상황에서만 가설에서 언급된 변수들 간의 관계가 증명되는 가설
- 식별 가설
- 설명적 가설
- 귀무가설(영가설)
- 연구가설(대립가설)
4) 가설의 방향성
연구자가 두 변수간에 존재하는 관계의 방향을 이미 알고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 가설의 방향성이 결정됨
- 방향성 연구가설
- 무방향성 연구가설
(3) 가설의 평가 기준
① 가설은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해야함.
실제 조사를 통해 가설의 참/거짓 판단 가능해야함.
② 동일 연구분야의 다른 가설이나 이론과 연관성이 있어야 함.
기존 연구 결과와 전혀 무관하거나 모순된 가설은 부적절 함
③ 가설은 간단명료하게 표현되어야 함.
④ 가설을 통해 연구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함
⑤ 가설은 논리적이고 간결성이 있어야 함
⑥ 가설은 계량화 할 수 있어야 함
⑦ 가설검증결과는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록 바람직함
⑧ 너무나 당연한 관계는 가설로서 적절하지 못함
경험적 검증 없이도 증명 가능한 가설은 연구가설로써의 의미가 없다
⑨ 가설은 동의반복적이어서는 안 됨.
서로 다른 두 개념이나 변수의 관계로서 수립되어야 함
(4) 가설의 유용성
이론의 정립 및 학문의 발전이라는 측면
① 사회현상의 잠재적 의미를 발견하고 사회현상에 어떠한 패턴이 있는가를 분석할 수 있다
② 연구에 대한 자극을 통해 새로운 연구문제를 도출하게 된다
③ 검증 과정을 통해 경험적 검증 절차의 체계를 정립해준다
④ 가설은 문제 해결에 필요한 관찰 및 실험의 적정성을 판단하게 한다
⑤ 가설은 관련 지식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